학종 자체를 반대하는 건 아니에요.
그래도 이건 아니잖아요.

학생부 종합전형(학종) 취재를 시작하고, 저는 전국을 돌아다니며 많은 학생을 만났습니다. 놀랍게도 제게 주로 연락을 해온 이들은 피해 학생들이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학종으로 혜택을 본 친구들이었습니다. ‘자신은 수혜를 받았지만, 친구들과 후배들을 위해서 고발하고 싶다’며 나선 겁니다. 아직도 기억에 남는 한 학생의 말이 있습니다.

패배자의 푸념이란 말 듣기 싫어
악을 쓰고 입학해서
꼭 고발하고 싶었다

학생부 종합전형은 지원자의 고교 3년 생활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뽑는 전형입니다. 내신뿐만 아니라 연구, 동아리, 독서, 봉사 활동 등을 정성적으로 평가하는 복잡하고 모호한 전형입니다.

학종의 비율은 매년 점점 늘고 있습니다. 2018년 대입 기준 4년제 대학은 4명 중 1명을, 주요 8개 대학은 신입생 2명 중 1명을 학종으로 뽑습니다. 서울대는 무려 5명 중 4명을 학종으로 입학시킵니다. 가히 ‘학종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실제로 제가 만난 성적 상위권 친구들의 학생부는 화려했습니다. 일단 두꺼웠습니다. 기본 25~30장이 넘었습니다. 특히 비교과 영역이 눈에 띄었습니다. 간단하게는 명사 특강부터 각종 동아리, 봉사 활동 내역이 빼곡히 종이를 채웠습니다.

제게는 R&E(소논문 쓰기 활동)이 가장 생소했습니다. 교내 R&E 대회에 나가기 위해 학생들은 친구들과 주제를 선정하고 토론과 연구를 했다고 말했습니다. 언뜻 보면 참 교육적으로 보이는데 도대체 무엇이 문제일까? 학생들의 대답은 하나같이 비슷했습니다.

부모님과 돈에 따라
결과가 바뀌기 너무 쉬워요
붙어도 왜 붙었는지 모르는 게
학종이에요

학생부 종합전형의 애초 취지가 과연 실현되고 있는가? 적어도 제가 만난 학생들의 이야기로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형식적이었던 수업이 능동적이고 다양하게 변한 것에는 동의했지만, 화려한 학생부 뒤에는 보이지 않는 부작용이 많다고 고백했습니다.

학부모의 인맥과 정보력에 따라 달라지는 스펙, 허위와 과장으로 얼룩진 학생부, 상위권 학생 밀어주기, 특목고-일반고 간의 창의적 체험활동 비용 차이 등을 문제로 꼽았습니다. 더 큰 문제는 학종이 정성평가여서 아무도 합격과 불합격의 이유를 모른다는 점이었습니다.

진실탐사그룹 <셜록>은
학종의 어두운 이면을 고발하고
이를 해결하려 합니다

<셜록>은 먼저 기사에 독자들의 살아있는 경험담을 담아 청와대 국민청원을 제기하겠습니다. 20만 명의 동의를 받아 정부의 답을 직접 듣고자 합니다. 프로젝트가 끝나면 문서로도 청원을 할 예정입니다. 제가 대표 청원자로 나서고 후원자분들 이름을 함께 기재하겠습니다.

더불어 학생부 종합전형 선발 비율이 높은 상위 대학을 상대로, 출신학교 차별을 비롯한 학종의 불투명성 불공정성 의혹을 밝히는 정보공개청구를 하겠습니다. 만약 비공개 결정이 나면 정보비공개결정처분 취소 행정소송을 제기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Keywor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