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찾아온 내가 몽둥이 든 염전 주인이 아닌데도 박홍준(1965년생) 씨는 차렷 자세를 풀지 않았다. 짙은 눈썹 밑으로 푹 꺼진 두 눈은 낯선 사람을 경계하는 듯 천천히 껌뻑였다.

흰머리와 ‘3자 주름’ 가득한 이마, 처진 어깨와 차렷 자세에도 곧게 펴지지 않는 등…. 57세의 박홍준은 이미 노인의 몸이었다. ‘염전노예 15년’의 흔적은 그의 몸에 선명했다.

발달장애가 있는 박 씨와 긴 대화는 어려웠다. 신뢰 관계가 없는 첫 만남이어서 더욱 그랬다. 그 와중에도 박 씨는 이 말을 분명히 했다.

“염전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아요.”

노숙인이나 발달장애인을 염전에 팔아넘기는 ‘휘빠리’로 여겼는지, 박 씨는 날 걱정스럽게 바라봤다. 박 씨는 구부정한 차렷 자세 그대로 천천히 언덕길을 걸어 숙소 쪽으로 발길을 돌렸다.

박 씨가 언덕 중간에 닿을 즈음 또 다른 염전노예 피해자 A 씨가 내려왔다. 멀리서도 그의 흰 이가 보였다. 그는 웃고 있었다. 역시 발달장애가 있는 A 씨는 뭐가 그리 좋은지 계속 미소를 지었다. 나를 ‘휘빠리’로 여기지 않는 게 분명했다.

“저는… 염전으로 돌아가고 싶어요.”

표정과 반대로 나를 휘빠리로 아는 걸까? A 씨는 수줍은 미소를 지으며 말했다.

“여기 시설에 있는 게 답답해서… 염전에 가서 일하고 싶어요.”

박 씨와 A 씨는 2014년 염전노예 사건이 터졌을 때 경찰의 도움으로 섬에서 탈출했다. 두 사람은 이후 전남 목포시 인근 사회복지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다.

한 사람은 경계하는 얼굴로 염전을 거부하고, 다른 한 명은 웃는 얼굴로 염전을 희망했다. 한여름의 땡볕 아래에서 둔기로 맞은 듯 머리가 띵했다. 이걸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옆에 있던 최정규 변호사가 땀을 닦으며 말했다.

“2014년에 장애인단체와 저희 공익변호사가 조력한 염전노예 피해자 분들이 60여 명 되는데, 그분들이 지금 어디서 무얼 하고 있는지 추적하면 석·박사 논문 하나는 쓸 겁니다. 대한민국 복지의 처절한 현실이 보일 거예요.”

지난해 7월 30일의 일이다. 석·박사 논문 쓰는 사람이 아니어도, 궁금증이 확 일었다. 그때 섬을 탈출한 염전노예들은 지금 어디서 무얼 하며 살고 있을까? 얼마 뒤 최 변호사에게 전화를 걸어 말했다.

“사라진 염전노예, 그분들 제가 한번 찾아보고 싶습니다. 혹시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요?”

프로젝트 ‘서칭 포 솔트맨 : 사라진 염전노예를 찾아서’는 그렇게 시작됐다. 다큐멘터리 영화 <서칭 포 슈가맨>에서 프로젝트 이름을 따왔다.

영화 <서칭 포 슈가맨>은 남아프리가공화국에서 국민가요 그 이상으로 사랑받는 곡을 남겼지만, 정작 얼굴과 이름은 알려지지 않은 무명 가수를 찾아가는 과정을 흥미롭게 담았다. 영화 속에서 가수 ‘슈가맨’은 은둔의 성자처럼 묵직하게 등장한다.

2014년 2월, 한국을 넘어 UN까지 분노하게 만든 염전노예 사건. 인간 이하의 노동을 감내하며 하얀 소금을 생산하던 그 ‘솔트맨’은 지금 어디에 있을까. 영화 속 슈가맨처럼 감동적인 삶을 살고 있을까, 아니면 여전히 타는 소금밭처럼 팍팍한 현장에 있을까.

염전노예 피해자 중에는 발달장애인이 많았다. 인신매매꾼 휘빠리, 직업소개소, 염전 주인은 이들을 적게는 70만 원, 많게는 200만 원으로 사고팔았다. 십수 년 노동을 시키고 월급을 주지도 않았다.

사건 직후 많은 사람이 분노했지만, 분노와 슬픔이 가라앉은 이후의 일까지 챙기는 사람은 적었다. 당시 경찰이 섬에서 데리고 나온 염전노동자는 약 400명. 이들은 금방 소리 없이 흩어졌고, 일부는 다시 아무도 찾지 않는 존재가 됐다.

진실탐사그룹 <셜록>은 이들을 찾고 싶었다. 도망 노예를 추적하는 조선시대의 추노, 21세기 인신매매꾼 휘빠리를 꿈꾼 건 아니다. 아무도 찾지 않는 사람들을 찾아서 우리 사회의 밑바닥을 보고 싶었다.

약 3개월, 이들을 추적하면서 구체적으로 안 사실이 있다. 그 섬에선 염전노예를 죽이기도 했고, 살인자는 처벌받지 않았으며, 진실을 아는 이웃 주민들은 침묵했다.

사라졌으되 아무도 찾지 않은 사람을 찾아가는 이야기, 지금부터 시작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