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극은 한 번으로 끝나지 않았다. 시작은 아버지의 죽음이었다.

전남 진도에 살던 최소자(1940년생)는 1950년 한국전쟁 중에 아버지를 잃었다. 아버지는 군인이 아니었다. ‘누군가’ 아버지를 잡아갔고 ‘어딘가’에서 아버지를 죽였다. 열한 살 소녀는 아무것도 알지 못했다. 특히 아버지가 ‘왜’ 죽었는지 정확히 말해주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그저 어머니의 말씀 속에 들어본 ‘낯선 단어’ 하나만을 기억할 뿐이다.

“그날 할머니가 밭에 가 계셨는데, 읍에서 사람이 나와서 ‘아버지한테 경찰 지서(파출소)로 좀 들어오라고 전해라’라는 전달을 받았어요. 할머니 말씀이, 아버지가 지서로 들어가면서 표정이 좀 안 좋았대요. 그렇게 들어갔는데 아버지는 돌아오지 않았어요.

유월 초이튿날이 할아버지 제삿날인데 그날도 아버지가 안 오셨어요. 제상을 차려놓고 할머니가 잠깐 눈을 붙였는데, 꿈에 아버지가 방문을 열고 잠깐 얼굴을 이렇게 내밀었다 가시더래요. 꿈이 이상해서 다음 날 할머니가 읍내 지서에 가서 아버지를 만나러 왔다고 그러니까, 경찰서 사람이 ‘어젯밤에 차에 실려갔는데 아마 죽었을 거다’ 그랬대요.”

진도 국민보도연맹 사건 유족 최소자 ⓒ구자환 감독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원회)의 <전남 국민보도연맹사건(2) 조사보고서>(2009년)에 따르면,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 후 진도 경찰은 국민보도연맹원 등을 예비검속해 구금한 후, ‘7월 17일’ 바다에 빠뜨려 희생시켰다. 할머니가 경찰 지서로 찾아가, 아들이 죽었을 거라는 말을 들은 날이 바로 음력 6월 3일, 양력으로 ‘7월 17일’이다.

“저는 아버지가 ‘(국민)보도연맹’에 가입했기 때문에 돌아가신 거라고 어머니한테 들었고, 보도연맹에 왜 들어가셨는지는 제대로 모르겠어요.”

1949년 ‘좌익 전향자를 계몽해 대한민국 국민으로 받아들인다’는 목적을 표방하며 결성된 국민보도연맹. 하지만 좌익과 무관한 국민들도 상당수 가입됐다. 가입 과정에서 각지 경찰에 가입인원이 ‘할당’됐기 때문에 마구잡이로 무리하게 가입시킨 일이 많았다. 특히 보도연맹에 가입하면 비료나 배급 등 혜택을 준다고 회유해서 가입시킨 사례도 있었다.

전쟁이 일어나자 정부는 보도연맹원들을 ‘위험인물’로 판단했다. 그들을 곧바로 소집 또는 연행해 구금했고, 살해했다. 법적절차도 없는 ‘즉결처형’ 형식의 정치적 집단학살이었다.

“그렇게 아버지가 죽임을 당했는데 그 장소가 어디인지도 몰랐어요. 바닷가에서 사람들이 파래도 따고 굴도 따고 하는데 시신이 자꾸 떠내려 오니까, 빨리 와서 확인하라고 연락이 오기도 했어요. 할머니가 두세 번 가서 확인했지만 아버지 시신은 못 찾고, 나중에 그 바닷가에 가서 혼을 건지는 예식을 했어요. 집에서 무당 불러다가 씻김굿도 하고.”

진도 국민보도연맹 사건 유족 최소자 ⓒ구자환 감독

시신도 없이 장사를 지냈다. 한 달쯤 지난 1950년 8월 말, 진도에도 인민군이 들어왔다. 마을에 살던 김아무개라는 사람이 인민군에게 잡혀갔다. 그의 딸들이 최소자의 할머니를 찾아와, 할머니가 인민군에게 가서 어떤 증언을 해주면 자기 아버지가 살 수 있다고 말했다.

할머니는 부탁을 들어주지 않았다. 그때 할머니는 자식을 잃은 충격과 슬픔에 빠져, 일절 문 밖 출입을 않고 지내던 때였다. 그 때문이었는지 다른 이유 때문이었는지, 김아무개라는 사람은 인민군의 손에 죽고 말았다. 그때부터 최소자의 집안에 또 다른 고통이 시작됐다.

“나중에 수복이 돼가지고 인민군이 물러가고 경찰이 다시 들어왔는데, (김아무개네) 아들이 (우익 치안대) 대장이 됐어요. 우리 할머니를 끌고 가서 얼마나 때렸는지, 할머니 손가락이 다 구부러졌어요. 아마 그때 그 사람이 열여덟, 열아홉 그렇게 됐을 거예요. 할머니는 맞으면서도 살려달라는 말은 안 하셨대요. 때리다가 ‘지독한 년, 아이고 소리도 안 하네’ 그랬는데, 할머니가 ‘손주 같은 너희들한테 맞고 살려달라 소리는 할 수 없다’ 그러셨대요.

그렇게 맞고 할머니가 돌아온 뒤에, 이웃사람이 우리 집에 와서 ‘그 집(김아무개네)에 가서 잘못했다고 빌어라’ 했다. 저도 너무 겁이 나서 ‘할머니 저 사람 말대로 가서 비세요’ 말한 기억이 나요. 그런데 할머니는 잘못한 게 없으니까 안 빌겠다고 그 집에 안 가셨어요.”

인민군의 점령은 한 달 남짓밖에 가지 못했다. 1950년 10월 초 경찰은 진도를 수복했다. 수복 이후 경찰과 우익 치안대 등은 인민군 점령 시기 부역자를 색출하기 시작했고, 그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되거나 실종됐다. 진도 국민학교(초등학교) 교원들이 인민군 점령기에 학생들에게 ‘인민가’를 가르쳤다는 이유로, 수복 이후 총살된 사건도 있었다.

어머니와 할머니가 목화를 손질하던 그날 밤, 평생 잊을 수 없는 사건이 일어났다 ⓒpixabay

“경찰 지서에서 뜬금없이 와서 많이 괴롭혔어요. 어느 날 밤에는 엄마하고 할머니가 목화를 따다가 손질하고 있었어요. 그때 또 들이닥쳐 가지고, 나는 너무 겁이 나서 이불을 뒤집어쓰고 자는 척했어요. 할머니하고 엄마를 괴롭히더니 나중에는 엄마한테 발가벗으라 그래요.

엄마가 안 한다 그래도 막 욕을 하고 괴롭혀서 할 수 없이 엄마가 벗었어요. 그때는 방에 불을 켜는 등잔이 있었어요. 이 사람들이 그걸 갖다가 엄마 사타구니에 놓고 지지는 거예요. 엄마가 막 비명을 질렀는데, 그걸 나는 평생 잊을 수가 없어요.”

할머니와 어머니는 옥살이까지 해야 했다. 어른들이 잡혀가 있던 4개월 동안, 열한 살의 최소자가 일곱 살, 네 살 먹은 동생들을 돌봐야 했다.

대체 ‘보도연맹’이란 네 글자가 뭐였기에…. 아버지의 죽음으로 시작된 비극은 집안 간의 원한과 가혹한 ‘보복’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슬픔과 서러움 뒤에 찾아온 지독한 가난. 70년이나 지난 이야기지만, 그 세월을 떠올리며 최소자의 눈이 또 한 번 붉게 젖는다.

“우리 전답(田畓)도 몰수해갔어요. 문전옥답 일곱 마지기를. 아버지도 잃었고 재산도 하루아침에 없어졌고, 살 길이 없었어요. 초등학교 4학년 때 전쟁이 났는데, 초등학교 졸업하고 딱 1년만 더 가족들하고 살고, 열다섯 살 되던 해에 집을 떠났어요. 살기 위해서. 목포에 가서 껌하고 사탕을 떼다가 장사를 했어요. 할머니는 서럽게 살다가 돌아가시고….”

 

최규화 기자 khchoi@sherlockpress.com
구자환 감독 documob@hanmail.net

TOP